실업급여를 신청한 뒤, 1차 실업인정을 완료했다면 이제부터는 2차, 3차, 4차 실업인정일마다 온라인 신청을 계속해줘야 합니다.
특히 2차 실업인정부터는 단순 출석이 아닌 구직활동 또는 구직 외 활동 실적을 증빙자료와 함께 제출해야 실업급여가 정상 지급돼요. 이번 글에서는 온라인 실업인정 신청 절차와 구직활동·구직 외 활동 인정 기준, 주의사항까지 상세하게 안내드립니다.
실업인정 신청, 언제부터 어떻게 하나요?
- 신청 시점: 1차 실업인정 후 약 4주(28일) 후
- 신청 시간: 실업인정일 당일 00시 ~ 17시(오후 5시)
- 신청 경로:
- 고용보험 공식 홈페이지 www.ei.go.kr
- 고용보험 모바일 앱
📌 신청 당일 오후 5시를 넘기면 실업급여가 지급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주의!
온라인 실업인정 신청 절차 (PC & 모바일)
- 고용보험 사이트 또는 앱 접속 → 로그인
- 공동 인증서 또는 간편 인증(카카오, PASS 등) 가능
- 실업급여 메뉴 클릭 → '실업인정 인터넷 신청' 선택
- '재취업을 위한 약속' 및 부정수급 경고문 동의
- 기본 정보 입력 확인
- 실업상태, 소득 발생 여부, 산재 휴업급여 수급 여부 등 체크
- 재취업 활동 내역 입력
- 구직활동 or 구직 외 활동 중 해당 항목 입력
- 워크넷 연동 가능 / 타 사이트는 자료 캡처 첨부 필수
- 다음 실업인정일까지 할 계획 입력 → 최종 제출
✔ 모바일도 가능하지만, 화면 구성과 첨부 기능은 PC가 더 편리해요.
구직활동으로 인정되는 활동은?
구직활동으로 인정받으려면 다음과 같은 실적이 필요해요.
- 실제 입사지원(서류 제출 포함)
- 면접 참여
- 채용 박람회 참가
- 워크넷을 통한 구직 신청
- 민간 취업사이트에서 지원 후 캡처한 증빙 제출
워크넷을 이용했다면 고용보험 시스템과 자동 연동되기 때문에 추가 첨부 없이 처리되어 가장 간편합니다.
구직 외 활동도 인정될 수 있어요
구직활동이 어려운 경우, 구직 외 활동으로 실업인정 받을 수 있어요. 특히 60세 이상, 경력단절 여성, 장애인이라면 선택 폭이 넓습니다.
- 온라인 취업특강 수강 (고용센터 연계)
- 직업심리검사 (센터 or 온라인)
- 직업능력개발 훈련 참여
- 고용센터 단기 특강, 집단상담 프로그램 참여
- 봉사활동 (일부 대상 한정)
※ 온라인 특강 수강은 고용보험 앱에서 ‘온라인 취업특강 프로그램’ 선택 → 수강 내역 자동 조회 및 제출 가능합니다.
꼭 주의해야 할 실업인정 신청 포인트
✅ 마감 시간: 실업인정일 당일 오후 5시 전까지 반드시 신청
✅ 허위 작성 금지: 구직활동 또는 소득 발생 사실을 허위 기재하면 부정수급 처리
✅ 소득 발생 시 즉시 신고: 아르바이트, 프리랜서 등 어떤 소득이든 신고 의무 있음
부정수급은 최대 환수 + 향후 수급 제한이 생길 수 있어 반드시 주의하세요.
실업인정일은 캘린더에 꼭 체크!
실업급여 수급을 계속 받기 위해서는
매 실업인정일마다 정확히 신청하고 활동을 증빙해야 합니다.
- 실업인정일은 문자나 고용보험에서 사전 안내
- 고용보험 앱에서 ‘실업인정 예정일’ 확인 가능
- 미리 알람 설정해두고, 전날 작성 후 제출만 남기기 전략 추천!
도움되는 참고 사이트
- 고용보험 공식 홈페이지: www.ei.go.kr
- 워크넷 구직활동 연동 기능 활용
- 고용24: https://www.work.go.kr/jobcenter
마무리하며
실업급여는 내 권리이지만, 정확한 절차와 활동 증빙이 수반되어야 받을 수 있는 책임 있는 권리입니다.
조금 번거롭더라도, 정해진 날짜에 맞춰 성실히 신청하고 구직 의지를 보여준다면 문제없이 수급 가능해요!
💡 실업인정일 놓치지 마시고,
다음 구직활동 계획도 잘 세워서 꼭 실업급여 이어가시길 바랍니다.
#실업인정신청 #2차실업인정 #실업급여지급조건 #고용보험실업인정 #구직활동인정기준 #고용보험사이트 #구직외활동 #실업급여신청방법